4년 만에 7,000원 돌파, 달걀값 미스터리! 알듯 말듯한 '고시가격'의 비밀을 파헤치다
서론
최근 장바구니 물가를 위협하는 주범 중 하나가 바로 '달걀값'이라는 사실, 그린비님도 체감하고 계실 것입니다. '달걀 한 판, 4년 만에 7,000원 돌파'라는 기사 헤드라인이 더 이상 낯설지 않을 정도지요. 축산물품질평가원 유통 정보에 따르면, 2025년 8월 현재 특란 30구 기준 달걀 소비자가격은 7,213원에 육박하며, 일부 대형마트에서는 8,000~9,000원대에 판매되기도 합니다. 소비자들의 불안감은 커지고, 때로는 5,000~6,000원대 할인 판매가 나오면 '오픈런'까지 마다하지 않는 현상까지 벌어지고 있습니다. 과연 달걀값은 왜 이렇게 오르는 걸까요? 단순한 폭염과 사육 환경 규제 때문일까요? 이 미스터리한 달걀값 상승의 이면에 숨겨진 '고시가격'의 비밀과 복잡한 유통 구조를 심층적으로 파헤쳐 보고자 합니다. 이 글을 통해 달걀값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고, 우리 식탁의 중요한 식재료인 달걀의 미래를 함께 조망해 볼 수 있기를 바랍니다.
본론
1. 달걀값 폭등의 표면적 원인: 공급 불안정과 수요 증가
달걀값 상승에 대한 가장 흔한 분석은 역시 공급 측면의 불안정성입니다. 올여름 유난히 심했던 폭염과 예측 불가능했던 폭우로 인해 산란계들의 무더기 폐사가 발생했고, 이는 자연스럽게 달걀 공급량 감소로 이어졌습니다. 더불어 정부가 산란계의 사육 환경 규제를 강화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닭 한 마리당 케이지 면적을 0.05㎡에서 0.075㎡로 넓히면서, 한정된 공간에서 사육 가능한 닭의 수가 줄어들어 전체적인 생산량이 감소했다는 주장입니다.
공급 감소와 더불어 달걀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에 따르면 1인당 일평균 계란 소비량은 2021년 0.82개에서 2022년 0.86개, 2023년 0.91개, 그리고 지난해 0.95개로 점진적으로 늘었습니다. 이는 외식 물가나 가공식품 가격이 상승하면서 소비자들이 단백질 섭취 수단으로 비교적 저렴한 콩이나 달걀을 더 많이 찾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이러한 공급 감소와 수요 증가는 분명 달걀값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2. 풀리지 않는 의문: 폭염 이전의 가격 상승, '고시가격'의 그림자
하지만 단순히 폭염이나 사육 환경 규제만으로 현재의 달걀값 폭등을 설명하기에는 석연치 않은 부분이 많습니다. 올해 3월, 달걀 산지 가격(특란 30구 기준)은 4,772원으로 이미 작년 같은 달(4,668원)을 넘어섰습니다. 이때는 아직 폭염이 닥치기 전이었고, 새로운 사육 환경 규제 또한 본격적으로 논란이 되기 전이었습니다. 장바구니 물가가 부담스럽다고는 해도, 3월에 계란 수요가 전년 대비 갑자기 폭증할 만한 특별한 이유도 없었죠.
여기서 물가 당국이 지목하는 주요 원인이 등장합니다. 바로 대한산란계협회가 고시하는 달걀 산지 가격, 즉 **'고시가격'**입니다. 산란계협회는 지난 3월, 특란 1구당 가격을 기존 146원에서 180원으로 36원 인상했으며, 5월에는 다시 190원으로 10원을 추가 인상했습니다. 물가 당국은 산란계협회가 회원사들로 하여금 이 고시가격을 따르도록 강제했는지 여부를 의심하고 있으며, 지난 6월에는 공정거래위원회가 현장 조사까지 벌인 것으로 알려져 고시가격의 영향력이 어느 정도인지 짐작게 합니다.
3. '고시가격'은 왜 생겨났을까? 달걀 유통의 특수성
그렇다면 이 '고시가격'은 왜 존재하고, 그 배경은 무엇일까요? 소나 돼지는 경매시장을 통해 수요와 공급에 따라 가격이 실시간으로 매겨지고, 대부분의 농가가 이 정보를 알 수 있어 '정보의 비대칭성'이 비교적 약합니다. 하지만 달걀은 사정이 전혀 다릅니다.
산란계는 매일 알을 낳고, 이 달걀은 신선도가 중요하여 그날그날 즉시 팔려야 합니다. 한가하게 경매에 붙일 시간적 여유가 없는 것이죠. 또한, 뿔뿔이 흩어져 있는 산란계 농가들 사이에서 실시간으로 달걀 가격 정보를 교환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이러한 정보의 부족으로 인해 가격 협상력이 떨어지는 산란계 농가들을 보호하기 위해, 과거 1960년대부터 생산자단체가 '고시가격'을 발표하는 관행이 시작되었습니다. 이는 매일 우유를 납품해야 하는 젖소 농가들이 연도별로 원유 가격을 결정하는 것과 유사한 맥락입니다. 즉, 고시가격은 생산자들이 적정 가격을 보장받고, 안정적인 생산 기반을 유지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이자 일종의 안전장치였던 것입니다.
4. 2021년 AI 파동: 유명무실했던 '고시가격'의 역전극
오랜 시간 동안 산란계협회의 '고시가격'은 사실상 유명무실했습니다. 그 이유는 달걀 유통 업계에 만연했던 '후장기할인(D/C) 대금 결제', 즉 '후장기 거래' 방식 때문이었습니다. 유통업체가 농가에서 달걀을 구매할 때, 매입 금액을 즉시 확정하지 않고 선별 과정에서 발생하는 '등외란' 비율이나 실제 납품업체 판매 가격 등을 따져 4~6주 후에야 대금을 정산하는 방식이었죠. 이로 인해 농가들은 약속받았던 돈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일이 잦았고, 유통업체에 대한 불신이 팽배했습니다. 심지어 후장기 할인 폭을 고려하여 고시가격이 더 높아지는 악순환까지 벌어졌습니다.
상황이 완전히 바뀐 것은 2021년입니다. 그해 발생한 사상 최악의 'AI(조류인플루엔자) 파동'은 모든 것을 역전시켰습니다. 2020년 11월부터 확산된 AI로 인해 2020년~2021년 한 해 동안 무려 1,696만수에 달하는 산란계가 살처분되었습니다. 이는 2025년 6월 기준 전체 산란계 사육 마릿수의 약 5분의 1에 해당하는 엄청난 숫자였습니다. 순식간에 공급이 급감하면서 유통업체들은 달걀을 구하기 위해 현금을 들고 전국 산란계 농가를 찾아다닐 정도로 '을'의 위치에 놓였습니다. 이로 인해 유명무실했던 고시가격의 영향력이 급부상하며, 농가들의 협상력이 비약적으로 강화된 것입니다.
5. 고시가격 논란과 투명한 거래를 향한 노력
현재 산란계협회의 고시가격은 법적인 강제성은 없습니다. 하지만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5년 6월 기준 전국 산란계 농가는 948가구로 1,000가구가 채 안 됩니다. 한우 농가(약 8만 가구)나 돼지 농가(약 5천 가구), 심지어 육용계 농가(약 1천8백 가구)와 비교해도 턱없이 적은 숫자입니다. 농가 수가 적고 소통이 쉬워 대부분의 산란계 농가가 고시가격을 따르고 있으며, 이는 사실상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생산자단체가 발표하는 고시가격이 실제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공정하게 반영하지 않고 '주먹구구식'으로 결정된다는 지적이 계속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농림축산식품부도 이러한 문제를 인지하고, 작년에는 이해관계자들과의 합의를 통해 "생산자단체의 가격고시를 폐지하고, 축산물품질평가원이 산지 거래 가격을 조사·발표하겠다"고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작년 말, 산란계협회가 이 합의에서 빠져나오면서 고시가격 관행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최근 농식품부 관계자는 지난달부터 산란계협회와 다시 실무 논의를 재개하여 "일정 부분 공감대를 이뤘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투명하고 공정한 거래 관행을 확립하기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결론
달걀 한 판 7,000원 시대는 단순히 폭염이나 사육 환경 규제 때문만이 아니었습니다. 달걀 유통의 특수성으로 탄생한 '고시가격'의 존재, 과거의 불공정 거래 관행, 그리고 2021년 AI 파동이 불러온 시장 역전극 등 복잡한 요인들이 얽히고설켜 현재의 달걀값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고시가격 자체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는 여전히 존재하지만, 중요한 것은 투명하고 공정한 가격 결정 시스템을 확립하여 소비자와 생산자 모두가 납득할 수 있는 시장 환경을 조성하는 것입니다. 정부와 산란계협회 간의 실질적인 논의를 통해 더 합리적이고 예측 가능한 달걀 유통 구조가 정립되기를 기대합니다. 우리 식탁에 오르는 작고 소중한 달걀 하나에 담긴 복잡한 경제학을 이해하는 것이, 합리적인 소비를 위한 첫걸음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한 줄 정리 달걀값 폭등은 AI 파동 이후 강화된 산란계협회의 '고시가격' 영향이 크며, 이는 달걀 유통의 특수성과 불공정 관행이 얽힌 복합적인 문제이다.
Egg Price Mystery: Soaring Past 7,000 Won in 4 Years! Unraveling the Secrets of the 'Notified Price'
Introduction
Lately, the price of eggs has undoubtedly been one of the main culprits threatening household budgets. It's no longer uncommon to see headlines like, 'Egg Tray Price Exceeds 7,000 Won for the First Time in 4 Years'. According to distribution information from the Animal Products Quality Evaluation Institute, as of August 2025, the consumer price for a 30-egg tray (extra-large) is close to 7,213 won, with some large supermarkets selling them for 8,000-9,000 won. Consumers' anxiety is growing, and occasionally, when a discount sale for 5,000-6,000 won occurs, "open runs" can be observed. Why exactly are egg prices rising so sharply? Is it merely due to the heatwave and farming environment regulations? This blog aims to delve deeply into the mystery of soaring egg prices, exploring the hidden secret of the 'notified price' and the complex distribution structure behind it. Through this article, we hope to resolve your curiosities about egg prices and look at the future of eggs, a vital ingredient on our dining tables.
Body
1. Apparent Causes of Egg Price Surge: Supply Instability and Increased Demand
The most common analysis for the rise in egg prices points to supply-side instability. The unusually severe heatwave and unpredictable heavy rainfall this summer led to mass poultry deaths, naturally resulting in a decrease in egg supply. Additionally, some analyses suggest that the government's strengthened regulations on layer hen farming environments have also played a role. The logic is that by expanding the cage area per chicken from 0.05㎡ to 0.075㎡, the number of chickens that can be raised in a limited space has decreased, naturally leading to a reduction in overall production.
Along with the supply reduction, egg demand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According to data from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the per capita daily egg consumption has gradually increased from 0.82 eggs in 2021 to 0.86 in 2022, 0.91 in 2023, and 0.95 last year. This is likely because as dining out costs and processed food prices rise, consumers are increasingly seeking relatively cheaper protein sources like beans and eggs. This combination of decreased supply and increased demand clearly acts as a major factor in rising egg prices.
2. Unanswered Questions: Price Hikes Before the Heatwave, the Shadow of the 'Notified Price'
However, explaining the current surge in egg prices solely with the heatwave or farming environment regulations leaves many unanswered questions. In March of this year, the farm gate price for eggs (30 extra-large eggs) had already surpassed the price of the same month last year (4,668 won), reaching 4,772 won. This was before the heatwave had struck, and before the new farming environment regulations had become a contentious issue. Even considering the burden on household budgets, there was no particular reason for egg demand to surge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in March.
This is where the price authorities pinpoint a major cause: the 'notified price' (고시가격) set by the Korea Layer Farmers' Association (대한산란계협회). The association increased the price per extra-large egg from the existing 146 won to 180 won in March and then further to 190 won in May. Price authorities suspect the association may have forced its members to adhere to this notified price, and it's known that the Fair Trade Commission conducted an on-site investigation in June, hinting at the extent of the notified price's influence.
3. Why Was the 'Notified Price' Created? The Peculiarity of Egg Distribution
So, why does this 'notified price' exist, and what is its background? Unlike cattle or pigs, whose prices are determined in real-time by supply and demand in auction markets where most farmers have access to information (thus reducing 'information asymmetry'), the situation for eggs is entirely different.
Laying hens lay eggs daily, and these eggs need to be sold immediately due to the importance of freshness. There is no time to leisurely put them up for auction. Moreover, it is very difficult for scattered layer hen farms to exchange real-time information on egg prices. To protect these farmers, who lacked bargaining power due to this information deficit, the practice of producer associations publishing a 'notified price' began in the 1960s. This is similar to how dairy farmers, who must deliver milk daily, decide on the price of raw milk each year. In essence, the notified price was a 'guideline' and a safety mechanism to ensure producers received fair prices and maintained a stable production base.
4. The 2021 AI Outbreak: The Reversal of the Once-Nominal 'Notified Price'
For a long time, the 'notified price' of the Korea Layer Farmers' Association was effectively nominal. This was primarily due to the prevalent 'post-settlement discount' (후장기할인), or 'deferred payment' method in the egg distribution industry. In this system, distributors would purchase eggs from farms without immediately finalizing the purchase amount. Instead, they would calculate the payment 4-6 weeks later, based on the proportion of 'defective eggs' found during sorting and the actual selling price to sub-suppliers. As a result, farmers often didn't receive the promised amount, leading to widespread distrust towards distributors. It even created a vicious cycle where notified prices were set higher to account for potential deferred discounts.
The situation completely changed in 2021. The worst-ever 'AI (Avian Influenza) outbreak' that year reversed everything. From November 2020, the spreading AI led to the culling of a staggering 16.96 million laying hens within a year (2020-2021). This amounted to approximately one-fifth of the total layer hen population as of June 2025. With the sudden severe decline in supply, distributors were in a vulnerable position, to the point of visiting farms across the country with cash to secure eggs. This surge in demand resurrected the influence of the once-nominal notified price, significantly strengthening farmers' bargaining power.
5. Notified Price Controversy and Efforts Towards Transparent Trade
Currently, the notified price set by the Korea Layer Farmers' Association is not legally binding. However, according to Statistics Korea, as of June 2025, there are fewer than 1,000 layer hen farms nationwide (948 to be exact). This is significantly fewer than Hanwoo (Korean native cattle) farms (approx. 80,000), pig farms (approx. 5,000), or even broiler chicken farms (approx. 1,800). Due to the small number of farms and ease of communication, most layer hen farms adhere to the notified price, which effectively exerts strong influence.
The problem is that criticism persists regarding the reliability of the notified price published by the producer association, with allegations that it does not fairly reflect actual supply and demand but is rather determined arbitraril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acknowledged these issues, and last year, after an agreement with stakeholders, announced that it would "abolish the notified price by producer organizations and have the Animal Products Quality Evaluation Institute investigate and announce farm gate prices." However, late last year, the Layer Farmers' Association withdrew from this agreement, and the practice of setting notified prices continues.
Recently, a MAFRA official stated that discussions with the Layer Farmers' Association resumed last month, and "a certain level of consensus has been reached." The government emphasizes its continued efforts to establish transparent and fair trading practices.
Conclusion
The era of 7,000 won for a tray of eggs is not solely due to the heatwave or farming environment regulations. A complex web of factors, including the existence of the 'notified price' (born from the peculiarities of egg distribution), past unfair trading practices, and the market reversal triggered by the 2021 AI outbreak, has intertwined to shape current egg prices. While the necessity of the notified price itself remains debatable, what is crucial is establishing a transparent and fair pricing system to create a market environment acceptable to both consumers and producers. We anticipate that substantive discussions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Layer Farmers' Association will lead to a more rational and predictable egg distribution structure. Understanding the complex economics behind each small, precious egg on our table might just be the first step towards rational consumption.
One-Line Summary The surge in egg prices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notified price' of the Korea Layer Farmers' Association, strengthened after the AI outbreak, a complex issue intertwined with egg distribution peculiarities and unfair practices.